여성 감독의 여성 주연 영화라서 더욱 좋았던 2019년 리메이크 작은 아씨들 (Little Women). 크리스마스에 뭐하냐고 묻는 미국 동료들 질문에 '마치 가족과 함께 보내' 라고 말했을 만큼 12월 25일 개봉을 손꼽아서 기다렸다. 크리스마스 오후에는 가족 단위로 영화관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데, 영화가 영화인지 만큼 주로 모녀, 자매들의 조합의 관람객들이 많았다.
베스가 아파서 뉴욕에서 조가 돌아오는 시점에서 시작한다는 것, 어린 시절과 교차하면서 굵직굵직 했던 에피소드를 보여주는 전개로 인해 자칫 '다 아는 이야기'로 지루할 틈을 주지 않았다.
8살에 처음 읽었고 그 후 무수하게 반복해서 읽었던 작은 아씨들이지만 지금 이 나이, 지금 이 시점에서 다시 보니 그 전에는 보이지 않았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이 많이 있었는데 아마 확 달라진 막내 에이미의 비중이 한 몫 했다.
이전 리메이크 영화에서는 에이미는 예쁘장하지만 자기 중심적으로 둘째이자 주인공인 조와 어린 시절 부딪치는 모습만 그려졌다면 2019년 이 작품에서는 에이미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 책에서는 몇 줄로 그치는 에이미의 유럽 여행이 감독의 상상력으로 재구성이 되었는데, 여기서 에이미는 사이다 같은 대사를 마구 쏘아댄다. 예를 들면, 애정이 없는 결혼을 돈 때문에 하려고 하냐는 로리의 힐난에 에이미는 이렇게 말한다.
I'm just a woman. And as a woman, there’s no way for me to make my own money. Not enough to earn a living or to support my family, and if I had my own money, which I don’t, that money would belong to my husband the moment we got married. And if we had children, they would be his, not mine. They would be his property, so don’t sit there and tell me that marriage isn’t an economic proposition, because it is. It may not be for you, but it most certainly is for me.
여성의 시점에서는 19세기와 21세기의 차이점은 여전히 크지 않다.
루이자 메이 올콧이 그린 19세기 뉴잉글랜드 미국 가정은 보스턴에서 한 시간 정도면 갈 수 있는 콩코드 (Concord) 이다. 실제로 올콧의 과수원집은 그대로 남아 작은 아씨들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10살의 어느 가을 날 갔던 그 강렬했던 감동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이 나는데 정작 다시 보스턴에 온 후에 다시 가볼 기회가 없었다.
이미 고전 중의 고전으로 자리잡은 작은 아씨들과 루이자 메이 올콧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두 개의 흥미로운 아티클:
더 아틀란틱 (2018):
NPR (2009)